*이 페이지는 "CHANRIO PLUS"(찬리오 플러스) 프로젝트에 참여,
당시의 개발 진행과정에 관하여 기술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모든 캐릭터관련 이미지 저작권은 ⓒSANRIO.CO.,LTD에 귀속되어 있습니다.

★프로젝트팀에 참여 후 마주한 난항요소들 ▶ 해결을 위해 시도한 것들
ㄴ팀들 뿐만 아니라 상부와도 정보공유가 전혀 되지 않음 ...▶Trello / Slack 개설 (성공)


처음 그래픽팀의 SVN은 종류 상관없이 폴더와 파일들이 무작위로 흩어져 있었다.
표정애니메이션을 위해 양눈썹과 눈이 모두 분리되어 있었으나,
실제로 캐릭터 애니매이션에서 제대로 적용시킬 수 없었고 파일명엔 아무런 규칙성도 없었음

(스샷은 그나마 정리 한 옛 리소스 폴더)

...
▶담당 프로젝트와 2D리소스를 따로  빼서 통  정리하여 재업로드(성공)

문서 역시 전혀 정리되어 있지 않아서 따로 뽑아내 정리하였다.
(이 팀에는 기획자가 없었기 때문에 본인이 했다)
◈찬리오프로젝트에 대해서 담당자들이 2년을 만들어 왔음에도
프로젝트의 토대가 되는 'ちゃんりおメーカー(찬리오메이커)'에 대한 이해도가 전무

▲산리오 캐릭터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도를 갖고 작업했다면 오지 않았을 본사의 피드백▲

찬리오(ちゃんりお)란 무엇인가....?

너무 길어지기 때문에 짧게 요약하자면 이 "찬리오플러스"는

일본에서 2015년 (주)하쿠호도 주도 하에 진행되어 히트한 찬리오메이커(ちゃんりおメーカー)를
산리오에게 의뢰받아 독자의 애니메이션 기능을 추가한 스마트폰용 App으로 만든 것이다.

찬리오 메이커는 풀100% 디지털마케팅의 성공사례로도 유명하며(오프라인 마케팅 전무)
일본에서 Data Driven Marketing을 논할 때 대표적인 사례로 꼽힐 정도로 유명한 프로젝트이다.

하지만 프로젝트에는 수명이 있는 법이고 주최사인 하쿠호도는 찬리오에서 손을 떼고,
찬리오메이커의 쇠락이 도래하면서 클라이언트인 산리오는 "찬리오메이커"의
스마트폰 이행을 시도-글로벌 앱으로의 전환을 본사에 의뢰했다...


라는 걸 그저 일본어를 할 줄 모른다는 이유로, 아무도 몰랐다. 그래서 간단한 분석서를 만들었다.

...▶ 직접 조사하여 분석문서를 만들고 구두로 전달할 수 있는 데까지 최대한 전달(성공) 아마도

◈전혀 관리되지 않아 아무런 규칙성을 갖지 못한 이미지리소스파일들

... ▶프로그래머와 상의하에 SVG컨버팅 시 새로운 파일이름을 적용하기로 결정,
산리오에서 제공한 캐릭터코드를 삽입, 파일규칙을 새로 정하여 수정에 들어감.

(▼사내공유용 마인드맵 이미지▼)
...▶ SVG출력시도가 정지되면서 무산됨(실패)
유니티는 SVG출력을 지원하지 않는다.

게다가 팀에서 유니티에서도 SVG를 자체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지 못하여 어셋스토어에서
구입 한 SVG출력 어셋을 임포트해서 사용했다.

여기서 이미 이미지리소스의 SVG컨버팅은 실패가 예고된 거나 다름없는 시도였다.


(이러한 타 제작사의 어셋을 연구도 없이 구매하여 사용할 경우 어떤 위험이 따르는지는 굳이 여기 적지 않겠다)


실제로 본인은 수없이 SVG 컨버팅의 무리성을 보고하였으나, 팀장의 결의가
워낙 단호하여 디자이너임에도프로그램적인 문제까지 살 펴가며 SVG를 컨버팅했다.

당시 본사(산리오)로부터 지급되는 원본파일은 모두 Ai형식이었기 때문에, SVG를 컨버팅 하기 위해
사용한 툴은 사내에서 제공한 일러스트레이터였다. 하지만 유니티가 버전업되고 임포터 역시
이에 대응하면서 SVG가 제대로 출력되지 않기 시작했다.

SVG임포터 제작자의 설명에 의하면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로는 버그로 인하여 제대로 된 SVG를 출력할 수 없기에 되도록이면 SVG제작에 일러스트레이터 외에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에 본인은 회사에 남은 Mac과 Affinity Design의 구매를 요청하였으나 아무런 답변도 듣지 못하고
3개월간 버그가 산출하는 일러스트레이터로 SVG의 컨버트-출력확인을 반복, 애니메이션까지 테스트 하였으나
결국 기간과 프로그래머의 재량의 한계의 부딪혀 상임위원으로부터 포기하라는 권고를 전달받게 되었다.

결국 SVG출력과 파일명 정리-수정 등이 모두 무산 됨.

그렇게 정리되지 못한 파일들로 구성된 앱 내부는 더더욱 산으로 가게 되었다...

◈오역, 디자인의 퇴화

디자이너에게는 디자이너만의 언어가 있다.

이것이 중간에 잘못된 번역을 거치며 의사소통에 문제가 생기면 '시간'이라는,
엄청나게 귀중한 자원의 손실이 발생하며 이는 필연적으로 회사측의 손실과도 연결된다.

SVN에서 발견한 일본어 컨펌문서들은 그러한 사례의 모범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다.

조사해 본 결과 중간에 번역을 담당하는 한국직원분은 캐릭터나 디자인에 대한 이해가 그다지 높지 않은 분이었다.
번역기를 돌린 흔적이 가끔 보일 정도로 번역이 엉망인 경우가 허다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2D뿐만 아니라 3D팀의 디자인에도 문제가 발생하게 만들었다.

...▶ 지나간 것은 어쩔 수 없으나 반복하지 않기 위해 오역을 문서로 빼서 캐치해두고
디자인 관련 일본어 컨펌문서는 본인이 직접 번역해서 전달(성공)

ㄴAnichan(플레이어캐릭터 모션녹화)의 기본적인수정

...▶ 2D 애니메이션을 만들어 온 디자이너로서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는 fbx좌표(왼쪽)로
캐릭터 모션셋팅이 되어있어(왼쪽) 스켈레톤 본과 IK를 적용하여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는
예시를 Unity에서 직접 작성(오른쪽)하여 애니를 만들어 제시하였으나 프로그래머부터
bake animation이란 이유(???)로 받아들여지지 않음(실패)

Side Project
연동 프로젝트
ㄴ하쿠호도 주최 산리오x베트남롯데 자일리틀 현지 콜라보 이벤트

...
▶ 일본 현지 언어번역, 이미지 리소스 작성, 컨펌대응,
Trello에 진행과정 업로드-공유, 아카이빙, Unity출력확인etc(성공)



* 해당관련 자료는 저작권에 민감한 자료가많기 때문에 프로젝트 진행에 관한 사항을
열람하고 싶으신 경우, 오프라인 연락을 해 주십시오. 양해 바랍니다.

Back to Top